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소식지

  • 소식지

포천소식 지면소식지의 개별기사는 모바일 환경으로 접속 하였을 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 외의 환경에서는 아래의 목록을 통해 PDF 보기로 제공됩니다.

지면소식지 신청 ☎031-538-2073 또는 goodnews4u@korea.kr
[농업] 천년관솔 윤순권 대표 우보천리(牛步千里)…“잣나무 관솔로 건강을”

‘피톤치드’ 항암, 향균효과 탁월 새롭게 주목
예비사회적 기업 천년관솔 활용방안 홍보 고군분투

오래된 침엽수에는 나무 속의 보물, ‘관솔’이 있다. ‘관솔’은 나무가 외부로부터 상처를 입었을 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분비하는 자연 항균물질이다. 과거에는 불을 붙여 등불 대용으로도 사용했으나 현대에 와서는 ‘피톤치드’로 새로이 주목받고 있다.

포천시 예비사회적기업 천년관솔 윤순권 대표(61)는 우리나라 고유 수종 ‘잣나무’의 관솔을 연구하며 활용방안과 효능을 알리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윤순권 대표

■ 포천 잣나무 관솔의 피톤치드

피톤치드는 식물이 박테리아, 해충 등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생산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다. 윤순권 대표는 지난 2018년, 잣나무 관솔의 피톤치드함유 정도를 구체적으로 수치화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에 시험 분석을 의뢰했다. 피톤치드의 대명사로 알려진 해외 수종을 대조군으로 두었다.

분석 결과, 잣나무 관솔 62.2g에 약 135,264㎍/㎥의 피톤치드 물질이 함유되어 있었다. 대조군의 31,799㎍/㎥보다 약 4배 높은 수치다. 심지어 피톤치드 물질 중, 항암, 항균효과가 탁월하다는 알파피넨은 대조군보다 약 7.5배, 항우울,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베타피넨은 약 5.7배 높은 수치를 보였다.

■ 관솔 피톤치드의 오늘과 내일

피톤치드를 얻기 위해 사람들은 해외 수종을 들여와 키우거나 원자재를 수입하는 경우가 많다. 잣나무 관솔에 피톤치드가 높음에도 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에 대해 윤대표는 사람들이 ‘잘 모르기 때문’이라 말한다. 관솔에 대한 연구도, 가치평가도 이루어진 것이 거의 없다. 그는 “미디어와 마케팅의 영향으로 ‘피톤치드=해외 수종’이라는 인식이 생겨 아쉽다. 우리나라 고유 수종인 잣나무, 특히 포천 잣나무 관솔은 질이 좋고 피톤치드도 풍부하다. 포천 잣나무 관솔을 제대로 알리는 것은 나의 사명이다”라고 말했다.

■ 포천 잣나무 관솔을 세상에 알리다

윤순권 대표는 관솔 전문가로서 농촌진흥청의 농업인 정보화 교육강좌, 산림청 그루경영체 등에서 강의하며 포천 잣나무 관솔의 우수함을 알리는 한편, ‘천년관솔’이라는 상호를 내고 관솔의 제품화를 시도했다.

쉽지는 않았다. 우수성을 아무리 설파해도 낯선 ‘관솔’은 외면받기 일쑤였다. 그러나 포천 잣나무 관솔 제품을 경험한 사람이 늘면서 입소문이 나기 시작했다. 제품 구성도 늘어나 현재는 수공예제품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아이디어스’에서 천년관솔의 볼펜, 키링 등의 제품을 만나볼 수 있다. 지난 2019년에는 산림청 예비 사회적기업으로 선정되었고, 목재 박람회, 산림청 메가쇼 등에 제품을 출품하며 주목받기도 했다. 코로나19 상황이 진정되면 강연도 계속해 나갈 계획이다.

그는 “잣나무 관솔은 땅속의 다이아몬드다. 향후 관솔박물관과 관솔건강마을 등 관솔을 체험할 수 있는 관광단지를 구성할 꿈을 가지고 있다. 아직 과제가 많지만 우보천리(牛步千里)의 마음으로 연구해 사람들에게 건강을 선사하겠다”라며 미소지었다.



포천 ‘디지털 농업기술보급사업’
노동력 절감에 이상기후 대응까지

스마트폰 활용 토양온도 수분 농장환경 추진

드론 활용 기술

포천시가 농업기술보급사업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포천시농업기술센터는 올해 농업 노동력 절감과 이상기후, 디지털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51개의 농업기술보급사업을 추진했다고 9일 밝혔다.

시는 농업 노동력 절감을 위해 지난 4월부터 영북면 소재 농가를 중심으로 벼 드문모 재배기술 시범사업을 실시했다. 벼 드문모 심기는 육묘 상자에 볍씨 파종량을 늘려 한개 당 250~300g의 벼를 파종해 이양 가능한 모의 수를 늘리고 이양할 때는 모의 수를 3.3㎡당 70~80포기에서 37~50포기를 심는 농법으로, 필요한 육묘 상자 수를 관행 대비 30% 줄이는 재배기술이다. 시범사업에 참여한 농가는 이 기술을 활용해 기존대비 수확량을 95~110%로 유지하면서 27%의 노동력과 47%의 생산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보았다.

드론을 이용한 벼 직파기술 시범사업도 추진했다. 드론을 이용한 벼 직파기술 시범사업은 드론을 활용해 볍씨를 파종하고 추비·제초 살포, 병해충 방제 등을 하는 기술로, 해당 농가는 벼 재배 전 과정의 노동력을 88%까지 절감하는 성과를 나타냈다.

또한, 과수종합관리 시범사업을 통해 과수농가의 시름을 덜어줬다. 시는 시비와 도비 1억8400만 원을 확보해 과수농가의 기상재해 예방을 위한 열풍개량형방상팬, 방열팬 등의 신기술 보급사업을 추진했다. 방상팬·방풍망을 통해 개화기 저온일 때에는 약 2~3℃ 온도상승을, 여름철 고온에는 약 1~2℃ 낮추는 효과로 과수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디지털 농업 확산을 위한 스마트 테스트베드 고도화 사업도 추진했다. 스마트농업 테스트베드 고도화사업은 스마트농업 시범모델이 실증단계를 거친 후 농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지 검증하는 사업으로, 시는 올해 온도, 습도, 토양수분 측정이 가능한 환경측정장치 50대를 설치·지원했다.

계측된 자료는 스마트폰을 활용해 디지털화시켜 온·습도, 이산화탄소, 토양온도 및 수분 등 농장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스마트영농지원시스템과 연계해 빅데이터로 저장된다. 수집된 데이터는 과학적 분석을 통해 불량한 농업환경을 개선하고 기상재해를 예보하는 등 농업기술 지도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포천시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농업인들이 다양한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농업분야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술보급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2022년도 유기농업자재 지원사업 신청·접수

포천시는 오는 12월 31일까지 2022년 유기농업자재 지원사업을 신청·접수 받는다.

친환경 농업인 등에게 유기농업자재와 녹비종자 구입 비용을 지원해 농가 경영비 부담을 줄이고 농약·화학비료 사용 감소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업을 구현하기 위한 사업이다.

신청대상은 시행령 개정으로 당초 친환경 농산물 인증을 받은 농업인에서 일반농가까지 확대한다. 단, 일반농가는 포천시 농업기술센터에서 비료 사용 처방서를 받아야 한다. 또한, 포천시 친환경농업과에서는 친환경인증을 받지 않은 일반농업인 등을 위해 토양검정 및 시비처방 등 컨설팅을 지원한다.

유기농업자재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홈페이지(http://www.naqs.go.kr)에 유기농업자재 공시가 되어있는 품질인증 자재로 사업비는 국비 20%, 지방비 30%, 자부담 50%이며, ha당 총구입비 기준 유기인증 농가는 200만원, 무농약 인증 농가는 150만원, 일반농가는 100만원 한도로 지원한다.

녹비작물종자는 농업경영정보를 등록한 일반 농업경영체에게 ha당 헤어리베치(60kg), 녹비(청)보리(140kg), 호밀(160kg), 자운영(50kg), 수단그라스(50kg) 등을 지원한다. 또한 녹비작물을 재배 후 절단하여 농경지에 환원할 경우 장려금을 지급한다.

오는 12월 31일까지 각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산업환경팀에 신청하면 되며, 기타 자세한 사항은 포천시 친환경농업과 특화농업팀(☎031-538-3732)으로 문의하면 된다.

목록보기
뒤로가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