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지
소식지
- 홈
- 소식지
포천소식 지면소식지의 개별기사는 모바일 환경으로 접속 하였을 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 외의 환경에서는 아래의 목록을 통해 PDF 보기로 제공됩니다.
그럼 왜 귀농·귀촌일까?
과거 IMF 귀농은 생계형 귀농에 해당하지만 21세기 귀농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엘리트 귀농이라는 인식이 있다. 다시 말하면 한국인 평균수명이 증가하면서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와 함께 ‘5都2村’의 전원생활을 통해 삶의 가치를 추구하려 할 뿐만 아니라, 조직문화로부터의 탈피와 정년 없는 직장에 대한 매력 등으로 귀농·귀촌 열풍이 불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귀농·귀촌! 농업농촌에 ‘희망’ 있다.
농촌에서도 건강에 대한 욕구 증대, 다문화 가정 증가, 치유농업의 대두, 기상이변에 의한 작목전환, 스마트농업으로의 발전 등 다양한 가치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러므로 귀농·귀촌은 농촌 지역의 건설경기 부활, 교육인프라 구축, 식품소비문화의 변화로 인한 새로운 비즈니스 개발 등 미래 산업으로 가치가 커질 전망이다.
귀농·귀촌인의 성공적인 정착을 지원하는 포천시
귀농·귀촌인은 정착과정 중 취약한 농업기반조성, 지역주민과의 소통 및 화합에 어려움을 겪는 등 장벽에 부딪히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우리 시에서는 귀농·귀촌 초기 안정적 정착을 위한 농업기반조성 지원,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교육과정 운영, 지역사회 화합과 활성화를 위한 솔루션 사업 등의 추진을 통해 성공적이며 안정적인 농촌정착 유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포천시 귀농·귀촌 지원 교육 및 귀농 지원 보조사업 등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포천시 귀농·귀촌 종합지원센터(포천시농업기술센터 內)로 문의하면 된다.
농업기술센터☎ 031) 538-3776~7
≫ 교육기간 : 2017. 3. ~ 11.(매주 금)
≫ 교육장소 : 포천시농업기술센터 농업인의 집, 귀농 텃밭, 관내 농업현장
≫ 교육내용 : 귀농의 이해 등 소양 교육, 농업기술이론 및 실습, 농업현장교육 등
≫ 모집인원 : 40명
≫ 선발기준 및 지원자격
- 관내 귀농·귀촌인(5년 이내), 관내·외 예비귀농인, 직업군인(전역 후 5년 이내)
≫ 교육신청서 접수
- 접수기간 및 방법 : 2017년 2월 1일(수) 8시부터 선착순 본인 방문접수
- 접수처 : 포천시농업기술센터 농업지원과 도시농업팀
≫ 제출서류 : 교육신청서(사진부착)1부, 서약서1부,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에 관한 동의서1부, 주민등록등본1부(최근 1개월 이내 발급), 지방세납세(완납) 증명서1부
※ 서류배부 : 포천시농업기술센터 농업지원과 또는 홈페이지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