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지
소식지
- 홈
- 소식지
포천소식 지면소식지의 개별기사는 모바일 환경으로 접속 하였을 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 외의 환경에서는 아래의 목록을 통해 PDF 보기로 제공됩니다.
포천시가 일(job)내다!
일자리 주요 정보
(2019. 05. 27. 기준)
모집요강 / 운전직
모집요강 / 생산직
모집요강 / 사무직
모집요강 / 기타직
일자리를 원하십니까? 일하실 분을 찾으십니까?
포천일자리센터
경기도 포천시 중앙로 3 4번길 8
(근로자종합복지관 1층)
문의 : 031-538-3115 / 2291~2
포천시 “농·작업 등 야외활동에 야생 진드기 조심하세요.”
포천시(시장 박윤국)는 “농·작업 등 야외활동이 많은 요즘 야생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긴팔(팔 토시)·긴 옷 등을 착용하고 일상복과 작업복을 구분하여 입고, 야외활동 후에는 즉시 샤워 등의 예방수칙을 준수 할 것”을 당부하였다.
야생 진드기에 물려 SFTS 바이러스 감염되면 고열(38℃이상)·메스꺼움 구토·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주로 농·작업 등 야외활동이 많은 4~11월에 많이 발생한다.
올해 첫 SFTS 환자는 강원·충남·전북에서 각 1명씩 발생했으며, 환자는 텃밭 가꾸기 등 야외활동 후에 발열·홍반 등의 증세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포천시 보건소에서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의 예방을 위해 각 읍·면·동 보건지소 및 보건진료소에 진드기 기피제 3,000개를 비치하는등 시민 보호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진드기에 물리지 않고 예방하려면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에는 작업복과 외출복을 구분하여 입고 ▲농작업 때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 밑 단은 양 말 안으로 넣어서 입고 ▲풀밭에 눕거나 옷을 벗어 두지 않아야 하며 ▲농작업 후에는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하는 등의 행동수칙을 실천해야 한다.
황영자 보건사업과장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이지만 혹시 농·작업이나 야외 활동 후 2주 이내에 특별한 이유없이 고열 및 소화기(오심, 구토, 설사 등) 증상 등이 있으면 즉시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9 고혈압·당뇨병 교육상담 표준화사업
◆ 대상 : 고혈압·당뇨병 유소견자 등
◆ 운영기간 : 2019. 4.~11. (10:00~12:00)
◆ 일시 : 둘째, 셋째, 넷째주 수요일 (무료)
(일정은 강사의 교육일정으로 변경가능하므로 예약 필수)
◆ 장소 : 포천시보건소 교육실 2층
◆ 내용 : 1, 2회차 - 만성질환 교육, 3회차 - 영양교육
〈모 집〉
◎ 접수일 : 매월 5일 까지 선착순15명
◎ 접수시간 : 9:00~12:00 (현장접수) 및 전화예약
◎ 접수처 : 포천시보건소 건강증진팀 2층 (신분증 지참)
보건소(건강증진팀) ☎538-3668, 3662
경기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시
5등급 차량 운행제한시행 안내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 발령기준
1. 당일 50㎍/㎥ 초과(0~16시 평균), 내일 50㎍/㎥ 초과(예보)
2. 당일 주의보·경보 발령(0~16시 평균), 내일 50㎍/㎥ 초과(예보)
3. 내일 75㎍/㎥ 초과(예보)
○ 발령시간 : 오후 5:00(17:00)
○ 발령방법 : 재난문자, 언론, 인터넷 등으로 안내
자동차 운행제한
○ 운행제한 시기 : 오늘 발령 시 내일 06:00 ~ 21:00까지 운행제한
○ 운행제한 대상 : 배출가스 5등급 차량(http://emissiongrade.mecar.or.kr 확인)
○ 단속방법 : 노후경유차 운행제한 CCTV
○ 위반시 벌칙 : 1일 1회 과태료 10만원
○ 지자체별 운행제한 제도 시행 시기
- 서울 : ‘19.2.15부터(총중량 2.5톤 이상), ‘19.6.1부터(총중량 2.5톤 미만)
- 인천 : ‘19.6.1부터(5등급 차량 전제)
- 경기도 : ‘19.6.1부터 예정(5등급 차량 전제)
운행제한 제외 차량
1. 「도로교통법」제2조제22호에 따른 긴급자동차
2. 「장애인복지법」제39조에 따라 장애인 사용 자동차 등 표지를 발급받은 자동차
3. 「지방세특례제한법」제29조제4항에 따라 국가유공자 등이 보철용·생업활동용으로 사용하는 자동차
4.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특수한 공용 목적을 위한 자동차(경찰, 군용, 경호, 환경 등)
5. 주한 외국공관 또는 외교관이나 그 밖에 이에 준하는 대우를 받는 자가 공용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자동차로서 외교부장관의 확인을 받은 자동차 및 주한 외국군대의 구성원이 공용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자동차
6. 배출가스 저감 장치가 부착된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