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복지
- 홈
- 시민기자
- 교육&복지
시민기자 이정식
포천시가 오랫동안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치열한 경쟁을 뚫고 드디어 만들어 낸 성과가 지난주에 발표되어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1차 공모에 비하여 두 배나 많은 지역에서 유치하겠다며 경쟁에 뛰어들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경쟁률을 보였던 사업이다. 신청할 때 만해도 최종 선정까지는 쉽지 않은 과정이 될 것이란 예상이 많았지만, 노력에 노력을 기울인 결과 드디어 올해 포천시가 ‘교육발전특구’ 라는 미래 지역발전의 밑바탕이 될 사업에 선정되는 쾌거를 만들어냈다.
‘교육발전특구’는 현 정부의 공약이었던 ‘교육자유특구’에서 출발하였다. 선거 공약으로 제시된 ‘교육자유특구’의 내용은 학생의 선택권과 학교의 다양성이라는 면에 주로 포커스를 맞춘 것이었다. 그런데 거기에 지역 주도로 공교육의 혁신을 통한 지역 인재육성과 산업 발전이라는 선순환적 사업 내용이 포함되면서 명칭이 ‘교육발전특구’라 정해지게 되었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 ‘교육발전특구’는 침체되고 있는 지역에 활력을 넣어주기 위해 교육이라는 주제에 방점을 둔 지원사업이다. 그렇지만 여기서 말하는 교육이라는 말에는 지역의 교육지원청이 주로 맡아서 진행하고, 행정기관인 포천시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기존 방식이 아니라 협력적으로 함께 시행하는 사업이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이 사업은 그동안 보아 온 중앙정부 계획 수립 후 지방에 내려보내는 방식과는 거리가 있다. 포천시와 교육지원청이 함께 고민하고, 협업하며 지역의 산업체와 교육기관, 그리고 공공기관 등이 우리 지역에 필요한 교육사업을 스스로 만들어 시행하는 ‘상향식’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지역의 발전을 위해 교육이라는 메소드를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그동안 중앙정부에서 내려 준 획일적인 교육정책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향식 방식은 우리 지역에 필요한 정책에 대한 수요와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리고 ‘교육발전특구’의 가장 중요한 내용은 사실 예산지원이 아니라는 것이다. ‘교육발전특구’에 지정되면 지방교육재정교부금 특별교부금에서 3년간 최대 100억 원이라는 예산이 지원된다. 물론 작은 금액은 아니지만 단순히 예산 얼마 지원하고 추후 결과에 대하여 신경쓰지 않았던 과거 지원 정책들과 달리 이번 ‘교육발전특구’는 지역의 초중고, 대학, 산업체, 공공기관, 교육지원기관 등 각 분야의 기관들이 협력적인 협업체를 만들도록 유도한다. 이를 통해 지역에 필요한 교육 정책을 지역에서 만들어 간다는 면에서 진정한 지역 발전의 교두보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점이 매우 차별화된 내용이다.
© 시민기자 이정식(포천시 제공)
© 시민기자 이정식(포천시 제공)
쉽게 말하면 포천의 여러 기관들이 교육을 통해 미래 포천의 먹거리가 될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실천하는 정책을 스스로 찾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것이 과연 가능한 일일까? 우리는 그동안 교육이란 것이 중앙정부의 획일적인 정책에 의해 늘 지시받는 수동적인 정책이라 생각했었다. 하지만 ‘교육발전특구’를 통해 이런 일들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포천시에서 준비하고 있는 내용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먼저 포천의 교육 비전은 ‘Edu-In-포천, 행복한 미래를 여는 더 큰 포천교육!’이라는 말로 함축될 수 있다. 포천시가 미래의 발전 동력이자 산업의 맥을 교육을 통해 만들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단순히 학습환경을 개선하고, 진로를 지도하는 정도의 교육프로그램이 아니라 지역의 발전을 견인하는 주력 콘텐츠로 교육이 자리매김을 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행복울타리(Edu-Care of 포천), 공교육의 중심(Edu-Core by 포천) 더 큰 공동체(Edu-Community for 포천)이라는 3대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여기서 말하는 ‘행복울타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보육을 포천형으로 만들어가는 유ㆍ보통합이라는 틀을 제시하는 것이며 방과 후 돌봄과정을 통합하는 유ㆍ보ㆍ초 협의체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보다 촘촘한 돌봄이 구현될 수 있도록 확대 개편한다는 내용이다. ‘공교육 중심’ 전략은 ‘맞춤형 교육’과 ‘특색형 교육’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는데 학생들이 원하는 학생주도형 교육을 위해 맞춤형 교육을 강화한다는 내용과 지역 우수 고교 육성을 위해 2개의 자율형공립고등학교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미래 성장산업으로 각광받는 드론, 반려동물사업 등에 특화된 취업연계형 특색형 교육을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더 큰 공동체 전략’은 인문교육을 기반으로 지역에 많은 다문화 학생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실시하고, 대학과 유관기관의 연계로 외국어 교육과 세계시민교육 등을 강화하여 함께 사는 ‘글로벌 시티 포천’을 구현하다는 것이다. 또한 학교로 찾아가는 인성교육을 통해 정서 함양을 추진하여 품격있는 인문도시로서의 포천을 만든다는 계획도 포함되어 있다.
© 시민기자 이정식(포천시 제공)
© 시민기자 이정식(포천시 제공)
‘교육발전특구’ 지정은 날로 심각해지는 지역의 인구감소와 소멸이라는 지역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도입되었다. 포천을 비롯한 여러 지자체가 교육발전특구 지정에 그렇게 열을 올리고 경쟁을 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그동안 공교육은 입시 위주의 사교육시장에 밀려 침체의 길을 걸었던 것이 사실이다. 서울의 우수한 대학으로 진학하는 것이 교육의 전부라고 생각하는 미시적 교육가치관이 존재하는 현실에서 그렇지 못한 지역의 인구감소와 공교육의 질적 하락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었다. 하지만 교육은 백년지대계라는 말에도 있듯 교육이 입시로 치부되는 단기간 학습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인재를 양성한다는 것은 그 지역의 미래를 양성한다는 것이고,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일꾼을 길러낸다는 의미이다. 향후 이들이 일하게 될 중심에 지역의 산업과 미래발전이 있다면 교육을 통한 정주여건개선, 지역소멸위험 감소 등 어려워 보이는 과제들을 풀 수 있는 단초가 된다.
이에 대하여 백영현 포천시장은 “교육이 곧 포천의 미래라는 굳건한 신념 아래 포천형 교육발전특구 사업이 인구감소 위기를 극복하는 것은 물론, 첨단산업 자족도시로 발전하는 도약대가 될 것이다.”며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백영현 포천시장의 말처럼 포천의 100년 미래 발전을 이끌어 갈 ‘교육발전특구’ 지정은 포천의 커다란 기회이자 미래 발전을 풀어가는 해법이 될 것이다.
© 시민기자 이정식(포천시 제공)